Surprise Me!

[뉴스분석]비용은 한중일이? 트럼프 발언 논란

2018-06-03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은 한중일 3국이 하고 미국은 돈 쓸 일이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어떤 의도인지, 정치부 최재원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최 기자,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영철 부위원장과 만난 직후에 이렇게 말한거군요? <br> <br>네, 북한 경제를 어떻게 도울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있었습니다. 답은 이랬습니다. 들어보시죠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(지난 1일)] <br>한국이 지원할 겁니다. 중국도 도울 것이고, 일본도 도울 것입니다. 나는 미국이 많은 돈을 쓸거라고 보지 않습니다. <br> <br>미국 정부는 대북 지원에서 빠지겠다는 겁니다. <br><br>미국은 "수천 마일 멀리 떨어져 있지만 한중일 세 나라는 이웃 국가"라는 이유를 들었습니다. <br> <br>미국 정부는 그동안 북한에 대한 지원에 미국민들의 세금을 쓰지 않고 민간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뜻을 밝혀왔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의 '사업가' 기질 때문입니다. <br><br>최근 회자되는 책이죠? 트럼프의 '거래의 기술'에는 이런 원칙이 있습니다. <br> <br>'비용은 적당히' 가치가 있으면 돈을 써야 하지만 낭비는 안 된다는 겁니다.<br> <br>트럼프는 지난해 북한이 각종 도발을 반복할 당시 한미가 함께 미사일 무력시위로 맞대응하자는 보고를 매우 싫어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미사일 1발에 쓰는 돈도 아깝다는 겁니다. <br><br>[질문2]그렇군요. 그럼 청와대도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뜻을 미리 알고 있었을까요? <br> <br>네,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지난 4월 한 토론회에도 이렇게 예측했습니다. <br><br>"트럼프 대통령은 돈 한푼 쓰지 않고, 빅딜에 성공했다고 말하고 싶을 것", 현 상황과 딱 맞아떨어집니다. <br> <br>청와대와 문 특보 사이에 어떤 교감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청와대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뜻을 전해 들었고 예상도 했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제재만 풀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설 준비를 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지난달 31일 문 대통령의 말을 들어보시죠. <br> <br>[지난달 31일 국가재정전략회의] <br>남북 경제협력이 본격화될 경우에 대비해 한반도 신경제지도를 뒷받침하기 위한 재정의 역할과 준비에 대해서도 미리 검토할 필요가 있겠습니다. <br> <br>판문점 선언에 대한 국회 비준 동의를 받겠다는 것도 남북 경협에 국민 세금을 쓸 것에 대비해 정당성을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질문2-2]그렇다면 비핵화 협상은 미국이 하고 우리는 비용만 떠안는게 아니냐는 걱정도 드는데요? <br> <br>네, 북한 비핵화를 어떻게 하고 그에 따른 보상은 어떻게 할 것인지는 북미정상회담에서 결정될 일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협상에 빠져 있는 한국이 경제 보상의 부담은 다 떠안는게 아니냐는 지적인거죠. <br> <br>1994년 북미간 제네바 합의에 따라 추진됐던 북한내 경수로 KEDO 사업 때도 비슷한 논란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가 전체 비용의 70%가 넘는 1조 2천억원을 부담했고, 나중에 사업이 실패하자 청산비용까지 떠안았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청와대는 북한과의 경협이 손해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안보 우려가 사라지고,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데 지원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[질문3]중국과 일본은 어떻습니까? <br> <br>중국은 최근 북한과의 끈끈한 관계를 과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달에는 북한 노동당의 대규모 경제 시찰단이 중국 베이징을 찾아 중국의 개혁개방 모델을 둘러봤습니다. <br> <br>시 주석이 이들을 직접 만나 북한에 대한 확실한 지원 의지를 드러냈고요. <br> <br>일본은 납치 일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북한이 요구하는 거액의 전쟁 배상금부터 풀어야 합니다. <br> <br>아베 총리는 이를 매개로 김정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네, 여기까지 들을까요. 최재원 기자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